이전

클리닉 소개

혈관및인터벤션클리닉

  • 혈관 및 인터벤션 클리닉
  • 인터벤션이란?

    인터벤션(영상중재치료)이란 투시나 초음파, CT, MRI 등의 영상획득 기술을 바탕으로 영상유도하에서 피부의 절개 없이, 바늘이나 카테터라 하는 1~2mm 정도 굵기의 가느다란 관으로 혈관이나 질병부위까지의 경로를 만들고 이를 통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첨단 의학 분야입니다.
    이는 내과의 약이나 외과의 절개 수술로 대변되는 전통적인 치료법만으로는 해결하기가 힘든 질병 (예로서 약으로는 해결되지 않고 수술하기는 불가능한 심부농양)의 치료를 담당합니다. 현재 조직검사, 심부농양의 배액, 혈관, 담관, 그리고 장관의 협착 부위의 확장성형, 급성출혈의 지혈, 악성 또는 양성 종양의 색전 치료, 혈액투석을 위한 동정맥루의 협착의 치료, 만성혈관질환의 치료 등에 대해서 활발하게 연구 및 진료가 시행되고 있습니다.
    본원 영상의학과에서는 각 과에서 의뢰된 환자를 위한 체계적이고 안전한 인터벤션 치료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인터벤션 치료에 관한 문의는 각 진료과 선생님들께 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진료내용안내
    • 말초혈관질환의 치료
    • 대동맥류의 혈관내 치료
    • 혈액 투석 동정맥루의 유지
    • 뇌동맥류의 코일 색전술
    • 심부정맥 혈전증의 치료
    • 자궁근종의 치료
    • 간암의 화학색전치료 및 고주파 열치료술
    • 스텐트를 이용한 장폐색의 치료
    • 경피적 담도 배액술 및 담도 폐쇄의 치료
    • 경피적 담낭 조루술
    • 경피적 신루 설치술
    • 경피적 농양 배액술
    • 낭종의 경화요법
    • 중심 정맥관 삽입
  • 말초혈관질환의 치료
    당뇨, 동맥경화, 혈관염 등의 혈관 질환으로 인하여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히거나, 풍선처럼 늘어나거나, 찢어지는 등의 현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수술이 없이도, 서로 연결되는 혈관 속을 타고 들어가 해당 부위로 카테터를 접근시킨 후 풍선이 내장된 관이나 스텐트라는 팽창형 그물망으로 좁은 부위을 넗히거나, 막힌 부위을 뚫거나, 풍선처럼 늘어난 부위를 성형하거나, 찢어진 부위를 막는 치료를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치료를 내혈관적 혈관성형이라고 합니다. 당뇨, 동맥경화등으로 하지동맥 (다리로 가는 동맥)이 막혀 다리가 썩거나 쉽게 저리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부위에 따라서 치료 방침이 조금씩 다르지만-혈관 성형술 단독으로 또는 수술과 같이 병행하여 좋은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신동맥(콩팥으로 가는 동맥)이 좁아지는 경우 신기능이 저하되고 심한 고혈압이 옵니다.
    내경동맥(뇌로 가는 동맥)이 좁아진 경우에 만성적인 두통과 함께 뇌졸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들에도 풍선확장술과 스텐트를 이용한 혈관성형술로 수술 없이 치료할 수 있습니다.
    말초혈관질환
  • 대동맥류의 혈관내 치료
    대동맥류는 대동맥의 벽이 약해져서 대동맥이 꽈리처럼 부풀어 오르는 것이며, 이 경우 대동맥의 벽이 약해져 있기 때문에 대동맥 파열로 이어져 짧은 시간 내에 많은 출혈을 보이게 되어 사망할 수 있습니다.
    대동맥류의 치료에는 인터벤션과 수술적 방법이 대동맥 질환의 크기, 위치, 특성에 따라 선택되어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 인터벤션의 경우 수술과 비교하여 입원기간과 회복 기간이 짧고, 발생하는 합병증도 적습니다.

    인터벤션으로 치료할 경우 환자가 중환자실에서 치료 받아야 하는 기간이 짧고, 출혈양도 수술에 비하여 적습니다. 인터벤션적 치료방법은 튜브내에 들어 있던 인조혈관 스텐트를 대동맥의 병변 부위에 놓아주면 접혀있던 인조혈관 스텐트가 스프링처럼 펴지면서 병변부위를 덮게됩니다. 인조혈관 스텐트가 병변 부위에 설치되면 약해진 대동맥 벽은 더이상 파열의 위험성이 없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대동맥류가 의심되는 증상 (지속적인 복부 통증, 허리통증이 양쪽 대퇴부와 다리 통증을 동반하는 경우, 배에서 쉽게 느껴지는 심장 박동, 피로감, 배에서 만져지는 몽우리 등)이 있을 경우 반드시 전문의사와 상담하시어 대동맥류의 유무에 대한 진단과 함께 적절한 치료를 받도록 해야 합니다.
    대동맥류의 혈관
  • 혈액 투석 동정맥루의 유지
    만성신부전으로 혈액투석을 받는 환자에게는 팔의 동정맥루가 생명선과도 같습니다. 그러나 오랜 기간 동안 이를 이용하여 투석 치료를 하면 어쩔 수 없이 동정맥루의 길이 좁아지거나 막혀서 사용하기가 힘들게 됩니다. 심한 경우에는 팔 정맥 자체가 막혀서 팔 전체가 심하게 붓게 되는 일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재수술을 하게 되면 사용 가능한 팔의 혈관이 자꾸 없어지게 되므로, 가능한 한 고쳐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혈관성형술은 간단하게 혈관 내로 가느다란 관을 삽입하여 혈전을 녹여 막힌 부분을 뚫고 좁아진 부위를 넓혀서 혈류를 회복시 켜주는 시술입니다.
    혈액 투석 동정맥루
  • 뇌동맥류의 코일색전술
    뇌동맥류는 혈관벽의 일부가 약한 경우 혈관벽이 늘어나 꽈리 모양으로 부풀어지는 것을 말합니다. 뇌혈관은 3층 구조로 되어 있는데 이중 2층 구조는 탄력섬유라는 말랑말랑한 조직으로 되어 있어서 혈관이 둘로 갈라지는 분지부에 피가 몰려 압력이 계속되면 혈관의 약한 부분은 혈류의 힘을 이기지 못하고 꽈리 모양으로 부풀어지게 됩니다. 이것이 뇌동맥류인데 이 때 피의 압력을 더 이상 이기지 못하여 꽈리가 터지면 뇌출혈로 됩니다.
    뇌동맥류 환자의 대부분은 뇌동맥류가 파열된 후 병원으로 오게 되는데 이 때 병원에서는 일반적으로 개두술과 뇌동맥류 결찰술을 시술하게 됩니다. 최근에는 뇌혈관 내 수술법의 하나로 뇌동맥류 내에 ´GDC´라는 코일(coil)을 넣어 치료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시행되고 있습니다.

    뇌동맥류의 혈관 내 치료법은 개두술을 피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 반면 해부학적 위치에 따라 결과가 개두술 후 뇌동맥류결찰술에 비해 안 좋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뇌동맥류로 진단 받은 경우 다양한 방법으로 뇌동맥류의 정확한 위치와 크기 그리고 형태를 알 필요가 있으며 전문의사와 상담하여 치료 방침을 결정하게 됩니다.
    뇌동맥류의 코일색전술
  • 심부정맥 혈전증의 치료
    혈액이 응고된 혈전이 심부정맥 (deep vein) 을 막아서 발생하는 심부정맥 혈전증 (deep vein thrombosis: DVT) 이 가장 흔한 하지의 정맥 질환입니다.
    증상은 통증, 갑자기 붓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표재 정맥이 커져서 피부 밖으로 튀어나오거나 피부가 붉은 혹은 파란색으로 변하기도 합니다. 제때에 치료하지 않으면 다리의 혈전이 떨어져 정맥을 타고 폐동맥에 도달하여 폐동맥 색전증과 정맥 판막을 손상시켜 판막이 완전히 닫히지 않아 혈류의 역류를 막지 못하고 다리에 많은 양의 혈액이 고이게 되고 정맥의 압력이 올라가는 정맥 고혈압을 일으키게 됩니다. 결국 되도록 빨리 진단하고 치료하여야 폐동맥 색전증과 정맥 고혈압의 합병증을 예방 할 수 있습니다.

    인터벤션 영상 시술은 무릎 부위의 정맥을 천자한 다음 혈전의 정도에 따라서 다양한 길이의 카테타를 정맥 내의 혈전에 삽입하여 혈전 용해제를 직접 투입한 후, 흡입 제거술과 기계적 혈전 제거술을 이용하며, 이러한 시술은 인터벤션 영상의학과 의사에 의하여 혈관 촬영실에서 시행되고 전통적인 치료 방법에 비하여 빠른 시간에 혈전을 완전히 제거하고 막혀있던 정맥의 혈류를 회복시키고 기능을 정상화 시켜 증상을 완화시키고 장기적으로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심부 정맥 혈전증을 혈전 용해제로 치료하고 정맥의 해부학적 구조를 확인하여 보면 78-80% 에서 정맥이 막혀있거나 좁아져 있는 구조의 이상을 발견하게 됩니다. 이러한 구조적인 이상은 심부 정맥 혈전을 일으킬 수 있는 중요한 요소로 확인되었기 때문에 좁아진 정맥을 치료해야만 정맥의 기능을 정상화 시킬 수 있습니다.
    이런 좁아진 부위에 팽창성 금속 스텐트를 삽입하고 풍선 카테타로 확장하는 시술이 수술을 피할 수 있으며 가장 효과적인 치료 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며 영상의학과에서 이루어지는 중요한 시술입니다.
    심부정맥 혈전증
  • 자궁근종의 치료
    자궁근종의 치료
    • 자궁근종이란?
      자궁근종은 자궁의 근육층에서 발생하는 양성종양으로 자궁근종이 있는 모든 환자에서 증상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고 자궁근종의 위치나 크기에 따라 통증, 불규칙한 월경, 월경과다등의 증상을 나타내며, 불임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자궁근종은 매우 흔한 질환으로 대부분 그 크기가 작으므로 증상을 일으키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일반적으로 35세 이상의 여성중 20-40%정도에서 증상을 일으킬정도 크기의 자궁근종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자궁근종의 치료법으로는 약물요법, 자궁동맥 색전술, 그리고 수술이 있습니다.
    • 자궁동맥 색전술은?
      자궁동맥 색전술이란 자궁으로 가는 동맥을 막아서 자궁근종의 크기를 줄이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수술을 하지 않고 피부에 약3-5mm 크기의 구멍을 통하여 동맥으로 가느다란 기구를 삽입하여 자궁동맥에 색전물질을 흘려 보내 자궁근종의 혈류를 차단시키는 것입니다.

      인터벤션 영상의학과에서 시행하는 이 방법은, 지난 20년 이상 자궁출혈이 있을때 사용해 오던 방법으로 안전한 시술입니다. 자궁동맥 색전술을 시행하기 위해선 보통 1-2일 동안 입원하며, 시술에 의한 통증을 조절하기 위한 약물과 함께 퇴원하게 됩니다. 자궁동맥 색전술을 시행받은 환자중 78-94%에서 출혈과다, 통증등의 증상이 소실됩니다.
      자궁동맥 색전술은 자궁근종의 숫자가 하나 이상일 때에서 효과가 있으며 한번 치료된 자궁근종의 재발, 혹은 재성장은 매우 드물게 발생합니다. 현재까지 밝혀진 바로는 자궁동맥 색전술후 5년 까지 자궁근종이 다시 자라지 않으며 자궁근종 색전술과 관련된 합병증을 보이지 않았습니다.
    • 자궁동맥 색전술 후에 임신이 가능한가?
      최근연구보고에 의하면 자궁근종 적출술을 받은 환자와 자궁동맥 색전술을 받은 환자에서 임신이 될 가능성은 비슷하다고 보고 되었습니다.
      지금까지 여러 보고에 의하면 자궁근종 때문에 임신이 안되는 경우 자궁동맥 색전술을 시행하고 나서 임신이 가능한 예가 많이 보고되었습니다. 그러나 자궁동맥 색전술과 임신과의 관계는 아직까지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으며, 장기적인 효과에 대해서도 아직 잘 모르는 상태입니다.
  • 간암의 화학색전치료 및 고주파 열치료술
    간동맥 색전술(TACE)은 암이 살아가는데 필수 불가결한 산소를 공급하는 혈관을 카테터라고 하는 볼펜심 정도 굵기의 관을 이용하여 사타구니 부위부터 찾아 들어가 젤폼이라고 하는 스폰지 입자와 항암제를 주입하여 동맥을 막아 치료하는 방법입니다.
    이 치료법은 암의 진행 정도에 대해서는 크게 제한이 없기 때문에 적용 범위가 넓고 심한 황달 또는 복수가 나타나지 않으면 시술이 가능합니다. 1회의 치료에 필요한 입원기간은 1주일 정도가 되며 부작용도 복통, 구역질, 식욕부진, 발열 등이 있기는 대부분 수일 내에 가라앉습니다. 이처럼 간동맥 색전술은 다른 치료법에 비해 치료대상의 제한이 적고 장점이 많기 때문에 지금까지 간암치료성과 향상에 가장 많이 기여하고 있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다만, 암의 범위에 따라 약3-4개월 주기로 반복치료를 필요로 합니다.

    고주파 열치료 (RFA) 는 가장 최근에 소개된 치료법으로 암 덩어리 내에 바늘모양의 고주파 전극을 설치한 후 고주파 전류를 가하여 암 부위에 열을 발생시킴으로써 암 조직을 치료하는 방법입니다. 치료 대상은 현재로는 암의 크기가 4 cm 이하, 수가 3 개 이하입니다. 이 시술은 시술 후 1-2일 내에 사회생활에 복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단, 암이 큰 혈관이나 다른 장기와 암이 닿아 있는 경우 치료효과가 낮거나 합병증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간동맥 색전술 등으로 치료를 권장합니다.
  • 스텐트를 이용한 장폐색의 치료
    수술이나 사고로 식도나 장, 기도, 요도 등에 협착이 생긴 경우, 풍선확장술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제거가 가능한 스텐트를 수개월간 유치시켜 협착부를 확장 시키는 치료를 하기도 합니다. 위나 위십이지장의 암 역시 수술로 제거할 수 없는 경우 스텐트를 이용하여 개복 수술없이 위에서 장으로 통하는 길을 만들 수 있습니다.
    스텐트를 이용한 장폐색의 치료
  • 경피적 담도 배액술 및 담도 폐쇄의 치료
    담즙은 간에서 생성되어 담도를 통하여 반드시 장으로 잘 흘러가야 합니다. 그로나 암이나 결석 등으로 그 길이 막히면 담즙이 담도 내에 고여 황달, 갈색 소변, 오심, 구토, 식욕 부진 등이 생기고, 심하면 담즙이 썩어 패혈증으로 사망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반드시 담즙을 몸 밖으로 배출시켜야 하는데, 경피적 담도 배액술은 체외에서 실시간 영상유도 하에서 바늘로 담도를 찔러 길을 만들고, 이를 통해 가늘고 긴 관을 담도에 넣어 담즙을 배출시키는 시술입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스텐트라는 자가팽창형 그물망으로 막힌 담도를 개통시켜 담즙이 정상적으로 장내로 흘러가게 하는 시술도 시행합니다.
    경피적 담도 배액술 및 담도 폐쇄의 치료
  • 경피적 농양 배액술
    몸 속에 농양 (고름집)이 있는 경우 몸 밖으로 빨리 배출시키는 것이 최선의 치료입니다. 그대로 두면 균이 피를 타고 몸 전체에 퍼져 사망할 수 도 있는 무서운 질병입니다. 피부에서 가까운 부위의 농양의 경우는 피부 절개 후 쉽게 배출시킬 수 있으나, 체내 깊숙이 위치해 있는 농양의 경우 항생제 같은 약으로도 조절되지 않고, 수술로도 제거가 힘듭니다. 이런 경우 피부의 절개 없이, 실시간 영상유도로 중요한 장기의 손상을 최소한 하면서, 체외에서 바늘과 가는 관을 이용하여 체내 깊숙이 있는 농양을 치료하는 시술입니다.
  • 낭종의 경화요법
    대부분의 낭종(물혹)은 무증상으로, 다른 원인에 의한 영상 검사시에 우연히 발견되며 주로 신장과 간에서 빈번히 발견됩니다. 그러나 크기가 커지면서 위치에 따라 증상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 경우 단순한 배액술 만으로는 낭종 내에 다시 물이 차게 되어 지속적인 치료 효과를 보기 어렵습니다.
    낭종의 경화요법은 낭종을 경피적으로 영상 유도하에서 천자하여 배액술을 시행한 후, 알코올을 이용하여 낭종 내막을 경화시켜 더 이상 물이 차지 않도록 하거나 그 양을 현저하게 줄여 증상을 호전시키는 시술입니다. 환자에 따라서는 시술 중 알코올에 의한 통증과 술에 취한 증상을 보이기도 하나 대부분에서 일시적으로 보이게 되며, 낭종의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4~5일의 입원을 통해 치료할 수 있습니다.
  • 중심 정맥관 삽입
    오랜 기간 동안 항암제 주사를 맞아야 한다거나, 관을 통해서 혈액투석을 해야 하는 경우에는 목이나 어깨 부위의 굵은 중심 정맥내로 관을 삽입하여야 합니다. 영상의학과에서는 오래 사용해도 잘 오염되지 않고 혈액을 뽑거나 약물을 주입하기 매우 편리하게 제작된 관을 영상 유도하에서 안전하게 중심정맥내로 삽입하는 시술입니다.
     

© 2016 KNUH. All rights reserved.